안녕하세요 Agentist -똥이입니다.
오늘은 보조지표에 대해 공부를 해보려고 합니다.
차트에 도움이 되는 보조지표들 중 자신에게 맞는 보조지표를 찾아야 합니다.
저는 많은 것들 중에 RSI와 볼린저밴드를 사용합니다.
볼린저밴드는 예전에 설명드렸으므로 패스하겠습니다.
볼린저밴드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통해 공부하시면 되겠습니다.
23.01.23 비트코인 주식 차트 공부 - 볼린저밴드 매매 법(1) (tistory.com)
23.01.23 비트코인 주식 차트 공부 - 볼린저밴드 매매 법(1)
안녕하세요 Agentist -똥이입니다. 연휴는 잘 즐기고 계신가요? 연휴라고 해서 공부를 하지 말란 법은 없고, 하란 법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주식 또는 비트코인을 매매할 때 손실을 줄이고 수익을
stock-agent.tistory.com
23.01.24 비트코인 주식 차트 공부 - 볼린저밴드 매매 법(2) (tistory.com)
23.01.24 비트코인 주식 차트 공부 - 볼린저밴드 매매 법(2)
안녕하세요 Agentist -똥이입니다. 어제에 이어 볼린저밴드 매매 법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볼린저밴드 상단 돌파 및 매수타점 볼린저밴드(볼밴)의 수축 이후, 시세가 상방으로 분출
stock-agent.tistory.com
RSI의 개념, 정의 등 의미가 있지만 간단히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RSI :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는 보조지표 중 하나이며, *모멘텀 지표 중 가장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모멘텀이란 물리학적 용어로 어떠한 힘, 또는 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원천을 의미합니다.)
RSI는 일정기간 동안 상승분 평균을 상승분 평균과 하락분 평균의 합으로 나눈 값이기에 이는 평균적인 변동분 대비 상승분의 비율입니다.
즉, 일정기간 동안 상승과 하락이 있을 것이고 RSI가 높다는 것은 상승할 때 많이 상승하고, 하락할 때 적게 하락했다는 것으로써 상승 모멘텀이 강함을 의미합니다.
또한 하락모멘텀이 강하다는 의미는 반대입니다. (상승할 때 적게 상승하고 하락할 때 많이 하락한다는 것)
의미에 대해서는 여기 까지만 설명하겠습니다.
(깊게 파고들면 머리만 아픕니다.)
RSI에서 일정기간은 14일 많이 사용합니다.
저희가 중요시 봐야 하는 것은 RSI가 과매수 구간에 있는지 과매도 구간에 있는지입니다.
RSI 지표를 차트에 설정을 하시게 되면 기본적으로 기간은 14일로 되어있을 것이며, 30과 70에 점선 혹은 선이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30 이하이면 과매도구간이며, 70 이상이면 과매수 구간이라 합니다.
위 차트에서 보시면 아래에 빨간색으로 되어있는 부분이 RSI입니다.
흰색 점선은 30과 70에 대한 기준선이며, 중간에 노란색 점선은 50입니다.
차트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70의 기준선 위에 RSI가 위치해 있으면 과매수 구간이며(시장이 과열이라 표현하기도 함) 고점을 의심하며 매매에 신중해야 합니다. 또한 30의 기준선 아래에 RSI가 위치해 있으면 과매도 구간이므로(침체구간이라 표현하기도 함) 저점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RSI지표는 말 그대로 보조지표이므로 100% 신뢰할 수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설명을 덧 붙이자면 붉은색 RSI는 일반적으로 주가가 상승할 때 같이 상승하며, 하락할 때 같이 하락합니다.
위 차트에서 보시면 RSI가 과매수 구간일 때 선물기준 숏 진입을 한 후 과매도 구간에 도달했을 때 포지션 정리하고, 과매도 구간일 때 선물기준 롱을 진입해서 과매수 구간에 도달할 때 포지션 정리를 합니다.
일반적으로 과매도, 과매수 구간이 진입했을 때 바로 포지션을 잡는 것이 아니라, 과매수구간의 경우 RSI가 70의 경계선 아래로 이탈할 때 숏 포지션에 진입을 합니다. 또한, 과매도 구간의 경우 RSI가 30의 경계선 위로 돌파할 때 롱 포지션에 진입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포지션에 진입했을 때 RSI 경계선을 통해 익절타이밍을 잡을 수 있습니다.
참, 말은 쉽습니다. 위 차트는 말 그대로 결과론 적인 이야기일 뿐입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위 차트를 보시면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기에 롱 포지션을 진입했지만, 더 하락을 하는 모습입니다.
처음 보여준 차트의 경우 과매도와 과매수구간이 확실하게 보였고 익절시그널까지 보였기에 익절로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위 차트의 경우 포지션 진입 시그널은 있지만 청산시그널은 보이지 않습니다.
두 가지 예시를 들었지만, 확실히 한 가지는 알 수 있었습니다.
"절대 RSI만 믿고 매매를 하면 안 된다."
RSI는 보조지표 이므로 너무 큰 신뢰를 가지지 마시고 다른 근거들과 조합해서 매매를 하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RSI의 중간경계선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하나의 전략으로 보시면 되며 100%는 아니니 참고용 전략으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상단과 하단을 오가는 RSI의 특성상 매수와 매도 타점으로 활용하기에는 너무 늦기에 추천하는 전략은 아닙니다.
하지만, 오랫동안 캔들이 횡보를 하고 RSI도 중단 부분인 50 근방에서 횡보를 한다면 수렴을 하고 있다는 의미로 보시면 됩니다. 이후 방향성이 나오는 구간이 RSI 50 경계선을 이탈하느냐, 돌파하느냐입니다.
만약 이탈을 했다면, 숏 포지션을 진입하고 돌파를 했다면 롱 포지션을 진입하는 전략입니다.
예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위 차트에서 보시면 일정기간 횡보를 하면서 RSI가 50(중간 노란 점선) 부근을 횡보하다가 50을 기점으로 방향을 확 튼 모습이 보입니다. (하얀색 동그라미)
50을 기점으로 위로 방향을 틀었기에 롱 포지션을 진입하고 짧게 수익을 낼 수 있는 전략입니다.
이 방법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용하기는 힘들 것입니다 단기적으로 1분, 3분, 5분, 15분 봉 등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정리하자면, 캔들과 RSI(50 부근)가 수렴하던 중 방향이 상방이라면 매수(롱 포지션), 하방이라면 매도(숏 포지션)를 고민해 보시면 됩니다.
RSI의 신뢰도가 좋지 않은데 왜 공부를 하고 있는 것인가?
이것은 앞으로 공부할 다이버전스를 위해 기초를 배우는 과정입니다.
RSI에 대해 활용할 줄 모른다면 다이버전스는 버려야 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물론, RSI가 아닌 Stochastic, Stochastic RSI, MACD 등 다른 지표들을 활용해 다이버전스를 볼 수 있지만 RSI만큼 쉬운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에는 다이버전스에 대한 내용과 RSI에 접목시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차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용어 알기 및 리스크관리 - 카이노스메드 (0) | 2023.02.08 |
---|---|
비트코인 주식 차트공부 - 다이버전스 (RSI) (0) | 2023.01.29 |
23.01.24 비트코인 주식 차트 공부 - 볼린저밴드 매매 법(2) (0) | 2023.01.24 |
23.01.23 비트코인 주식 차트 공부 - 볼린저밴드 매매 법(1) (0) | 2023.01.23 |
23.01.22 비트코인 주식 차트공부 - 하락을 예상하는 캔들 (0) | 202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