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매 및 차트분석

국내증시 코스닥, 코스피 전망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차트분석을 사랑하는 -똥이입니다.

한주는 마무리 잘하고 계신가요? 내일 주식시장의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됩니다. 한 주가 시작되는 만큼 국내증시가 어떻게 흘러갈 것인지 고민에 빠진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 제가 생각하는 앞으로의 흐름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은 커플링으로 흐르기 마련인데 먼저 코스피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코스피

코스피 흐름
코스피 일봉차트

 

지난 금요일 코스피는 갭하락 출발하면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습니다. 캔들상으로는 윗고리를 단 양봉상태로 마감을 했지만 정확히는 약 -1% 하락마감을 하였습니다. 다만 긍정적인 점은 20일 이동평균선위에 안착한 상태로 마감을 했다는 것인데요. 월요일에 캔들의 시작위치가 어디냐에 따라 한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인지, 하락으로 이어질 것인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볼린저밴드(맨 위 빨간 선, 맨 아래 검정선)가 모여있다는 것은 곧 방향성이 나온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됩니다. 볼린저밴드도 이동평균선과 동일하게 자석의 원리라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편할 것입니다. 

 

이동평균선에 대해 포스팅할 때 이동평균선이 모였을 때 반발력이 생겨 방향성이 정해진다고 했었습니다. 이동평균선에 대한 글을 못 보셨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23.01.16 비트코인 주식 차트공부 - 이동평균선(2) (tistory.com)

 

23.01.16 비트코인 주식 차트공부 - 이동평균선(2)

안녕하세요 Agentist -똥이입니다. 어제에 이어 이동평균선에 대해 공부를 시작하겠습니다. 어제의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부탁드립니다. 23.01.15 비트코인 주식 차트공부 - 이동평균선(1) (tis

stock-agent.tistory.com

 

그리고 지난 금요일 코스피의 거래량은 전일 거래량 보다 많이 발생했습니다. 윗꼬리를 단 캔들을 하고 있으면서 거래량이 많이 발생했다는 것은 매도압력이 강했다는 것입니다. 즉, 수익실현을 한 사람들이 많이 발생했다는 것이죠. 이것은 시장의 방향에 대해 생각했을 때는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조금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이기에 상승할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아마 전고점부근인 2,500포인트까지는 상승이 나올 것으로 보이며 2,500포인트 부근 저항을 맞고 2,400포인트 부근까지 하락하며 지지라인을 형성해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위 내용들은 글 마지막에 짧게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코스닥

코스닥 흐름
코스닥 일봉차트

 

코스피와 코스닥은 커플링으로 흐르기 마련인데 최근 코스닥의 모습은 코스피와 커플링으로 흘러가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코스피와는 다르게 꾸준한 상승을 보여줬죠. 코스닥의 경우 지난 금요일 도지형태의 캔들로 마감을 했으며, 거래량이 많이 발생하지는 않았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매우 좋은 흐름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2월 초에 발생한 캔들을 보시면 하락시그널이 나온 상태입니다.

 

코스닥 하락다이버전스
코스닥 하락다이버전스 발생

 

최근 캔들을 자세히 보시면 고점을 새롭게 갱신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미세하지만 고점은 높아졌는데 RSI의 신호는 하락을 하고 있다면 이것은 하락다이버전스가 발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을 두고 봤을 때 하락시그널은 이미 발생했기에 하락이 나올 가능성이 생긴 것입니다.

 

이동평균선을 보시면 반대로 상승시그널이 나왔다고 생각해도 무방한데요. 지난 금요일을 기점으로 60일 이동평균선이 120일 이동평균선을 골든크로스했습니다. 위에 이동평균선에 대한 글을 읽어보셨다면 골든크로스에 대한 이해는 하셨을 겁니다. 골든크로스가 발생하면 상승으로 가려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락다이버전스와 골든크로스 서로 상반되는 시그널이 나왔는데 어느 것이 맞아떨어질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다만 확률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상승흐름인지, 하락흐름인지 미리 생각하고 전략을 세워 대응하는 것이 저희가 할 수 있는 최선이라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 봤을 때 코스피와 코스닥이 상승을 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월요일에 캔들의 시작점이 갭하락이라면 전략을 전체적으로 변경할 것입니다. 갭하락으로 시작하고 하방압력이 강하다고 느껴지면 가지고 있었던 주식을 하나씩 정리하면서 현금화를 진행할 것입니다. 지난 금요일에는 느낌이 이상해서 30% 정도 현금화를 진행했습니다. 월요일에 갭상승을 하면서 갭을 메워주는 무빙을 보이고 상승을 이어간다면 관심종목들을 분할로 매수를 해볼 것입니다. 

 

정리하면 갭하락 출발 시 현금화를 진행할 것이고, 갭상승 출발 시 새로운 종목을 매수할 것입니다. 두 가지의 시나리오안에서 세부적으로 계획을 해두고 있습니다. 매매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할 때는 세부계획도 철저하게 작성하셔야 합니다. 또한, 현금화를 하실 때는 일괄매도를 하는 것이 아니라 리스크관리를 하면서 현금화진행을 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 종목의 수익이 10만 원이 발생하고 있고 두 종목의 수익이 -10만 원이 발생된다면 +금액과 -금액을 상쇄시켜 총 세종목을 정리하면서 현금화를 시키는 것입니다. 기회비용을 얻지는 못했지만 계좌 내 잔고 손해는 없었으니 그것으로 만족을 하는 겁니다. 잔고가 상승했다면 더 좋은 것이지만 손해를 보지 않고 경험을 했다는 것은 수익만큼 값진 것입니다. 여러분이 리스크 관리를 어떻게 하는지 모르지만, 제가 추천드리는 방법은 +와 - 금액을 서로 상쇄시키는 것입니다. 이 방법이 100% 정답은 아니지만, 큰 도움이 되실 거라고 확신합니다.

 

결론은 코스피와 코스닥의 월요일 시작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갭하락 : 코스피 2,400포인트 / 코스닥 760포인트      갭상승 : 코스피 2,500포인트 / 코스닥 800포인트

 

제가 생각하는 관점일 뿐이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제 말이 100%는 아니니 본인의 판단과 경험을 통해 참고만 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