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매 및 차트분석

230220 국내증시 코스닥, 코스피 분석 및 전망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차트분석을 즐기는 -똥이입니다.

일요일을 마무리하며 국내증시의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오늘은 추가적인 설명을 드리려고 합니다.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되면서 주봉이 갱신되었고, 일봉의 시작 위치 그리고 코스피, 코스닥의 중요 지지선과 저항선의 위치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또한, 제가 추세선에 대한 매매방법을 포스팅한 적 있었습니다. 결과론적인 이야기가 되겠지만, 제가 한 이야기와 왜 맞아떨어졌는지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차트가 간혹 다를 수 있는데 노트북으로 작성한 것과 컴퓨터로 작성한 것의 HTS설정의 차입니다.

 

추세선에 대한 내용을 잘 모르시다면 아래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기초] 추세선 이탈 돌파를 활용한 매매방법 (tistory.com)

 

[기초] 추세선 이탈 돌파를 활용한 매매방법

안녕하세요. 차트분석을 즐기는 -똥이입니다. 추세선에 대해 공부를 했었습니다. 추세선을 공부했다는 것은 차트를 보고 기본적인 작도는 하실 줄 안다고 판단하겠습니다. 그리고 하나의 캔들

stock-agent.tistory.com

 

전일 국내증시 전망에 대해 읽지 못하신 분은 아래 글을 확인부탁드리겠습니다.

국내증시 코스닥, 코스피 전망 (tistory.com)

 

국내증시 코스닥, 코스피 전망

안녕하세요. 차트분석을 사랑하는 -똥이입니다. 한주는 마무리 잘하고 계신가요? 내일 주식시장의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됩니다. 한 주가 시작되는 만큼 국내증시가 어떻게 흘러갈 것인지 고민에

stock-agent.tistory.com

 

코스피

코스피 일봉 차트 전망
코스피 일봉차트 매물대

 

전일 코스피가 상승을 할 것인지 아닌지에 대해 확답을 드리진 않고 여러 가지 시나리오에 대해 설명을 드렸습니다. 갭상승을 하느냐? 갭하락을 하느냐? 갭상승 시 어떻게 흐르고, 갭하락 시 어떻게 흐르는지? 에 대해 시나리오를 몇 가지 제시를 해드렸지만, 자세한 이야기는 하지 않았습니다. (제가 작성한 글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다른 누군가에겐 참고용으로 작성한 이 글이 참고가 아닌 확신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에 너무 상세한 이야기는 하지 않았습니다.)

어쨌든 다행히 약간의 갭상승으로 시작을 했고, 하방압력이 강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뒤늦게 매수세가 붙으면서 아랫꼬리를 길게 달고 도지마 감을 해주었습니다. 위 차트를 보시면 최근 20 거래일 동안 하나의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위 구간은 2,400 ~ 2,500 포인트구간이나, 정확히는 2,425 ~ 2,490 포인트 구간입니다. 박스권을 정확히 설정하려고 했으나 그러지 않은 이유는 100%가 없고,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2,400 / 2,500 이란 숫자는 *라운드피겨이므로 꾀나 강한 지지와 저항라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차트를 보시면 지지선으로 2,425 포인트를 작도해 두었습니다. 그 이유는 아래 차트를 보고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코스피 과거 되새김
코스피 일봉차트 지난 과거 확인

 

지난 과거 코로나사태 이전 18년도 부근에 2,425 포인트 라인을 지지받았지만 결국에는 지지선을 이탈하면서 아래로 흘렀습니다. 그리고 19년도를 지나 20년도에 코로나로 인해 증시가 무너졌었지만 금세 회복하며 1년간의 대 상승장이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한 번에 쭉 올렸다는 느낌보다는 중간에 쉬어가는 것이 있었습니다. 제가 표시해 둔 곳을 보시면 20년도 8월~10월 말까지 저항을 맞으며 하나의 박스권을 만들어냈고, 11월이 되면서 차츰 저항을 돌파하려는 시도와 함께 돌파하면서 상승을 했습니다.

요점은 하나입니다. 18년도 금융위기 당시 지지를 받던 라인을 이탈했고, 코로나 사태로 증시가 한번 더 무너 진 후 증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커쳐야 하는 저항라인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21년도부터 22년까지 이어진 하락추세를 깨고 과거 중요 저항라인이었던 2,425라인을 지지받는 것이 관건입니다. 

 

코스피 주봉 차트 하락추세 돌파 그리고 리테스트
코스피 주봉 차트 하락추세 돌파 및 리테스트

제가 이 포스팅 초반에 추세선에 대해 설명한 링크를 올려드렸습니다. 확인을 하셨다는 가정하에 이야기 시작하겠습니다. 21년도부터 이어온 하락추세를 22년 11월에 돌파해 주었고, 이후 하락하면서 23년도가 시작할 때 하락추세 라인을 리테스트 하는 모습입니다. 결과론적인 이야기 맞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트레이더들은 제가 말한 구간에서 리테스트하는 것을 주시했을 것입니다.  차트에서 보시면 주봉상으로도 2,500 포인트 부근이 60주 이동평균선이 위치한 부근이며 전고점 부근이기도 하기에 강한 저항선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0%는 아니니 참고하는 정도로만 봐주시기 바라겠습니다.)

 

 

코스닥

코스닥도 코스피와 크게 다르지 않기에 간단히 사진으로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코스닥 일봉차트 지지와 저항
코스닥 일봉차트 지지선과 저항선

 

코스닥 일봉차트도 코스피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코스닥은 코스피와 다르게 유동성이 더 있다 보니 차트가 심히 이뻐 보이진 않네요.(기분 탓이겠죠...) 어쨌든 많은 라인을 지지 또는 저항해 준 곳을 봤을 때 765 ~ 835 포인트 부근입니다. 물론 중간에 800포 인트라는 *라운드피겨가 존재하기에 1차적인 저항선은 800포 인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코스닥 주봉 차트 흐름 방향성
코스닥 주봉차트 하락추세 돌파 후 상승 중

 

코스닥은 코스피와 다른 흐름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코스피의 경우 리테스를 해주었지만, 코스닥의 경우 리테스트를 해주지 않았습니다. 만약 코스닥도 리테스를 해줬다면 정말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각할 수 있겠지만, 아쉽게도 그렇지 못한 그림입니다. 현재 모습은 800포인트 또는 835포인트의 저항라인에 부딪힌 후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모습입니다. 리테스트를 꼬 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큰 상승을 위해 한번쯤 쉬어가는 모습을 그려줘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당분간 매매하실 때 조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약, 저항을 맞고 하락하게 된다면, 750포인트 까지도 열려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항상 대응을 준비해야 하는 것이 트레이더의 숙명이라고 생각하기에 여러 시나리오를 작성해 두는 것은 필수입니다.

 

코스피는 2,425 ~ 2,500 / 코스닥은 크게 보면 750 ~ 835 간단히 보면 765 ~ 800 포인트 구간이므로 매매하실 때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시장은 늘 변수가 존재하기에 모든 트레이더가 원하는 방향대로 흘러가지 않습니다. 그러니 꾸준히 시장을 관찰하고 관심을 가지면서 대응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