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트공부

23.01.13 비트코인 주식 차트공부 - 패턴 그리고 매매 (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Agentist -똥이입니다.

오늘은 더블탑, 더블바텀에 대해 공부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더블탑 패턴 (쌍봉패턴)

 

이더리움 4시간봉 차트 더블탑패턴

위 차트가 이상적인 그림은 아닙니다. 다만, 패턴의 모양과 지지선에 대해 이해하기 쉬울 것이라 판단돼서 들고 왔습니다.

더블탑 패턴은 쌍봉패턴이라고도 합니다.

흰색 지지선(넥라인이라고도 함.)을 이탈했을 시 아래로 내려 꽂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차트에서는 아래로 내려 꽂는 느낌이 덜 들지만, 퍼센트로 보시면 8% 가량 아래로 내려꽃는 겁니다.

이더리움 또는 비트코인에서 -8%의 수치는 엄청난 것이죠.

 

또한, 지지선을 이탈했을 때 바로 숏 포지션을 진입하는 것이 아닙니다.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탈 후 넥라인(지지선)이 다시 터치해 주고 내려갈 때 진입을 하는 것입니다.

포지션 진입을 했다면 더블탑 부분의 1:1 비율로 목표가격을 설정하시거나 1:0.5 비율로 중간에 분할매도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더블바텀 패턴 (쌍바닥 패턴)

이더리움 5분봉 차트 더블바텀(쌍바닥)

이번에는 더블바텀 즉, 쌍바닥패턴입니다.

쌍봉 패턴은 하락에 무게를 뒀다면, 쌍바닥패턴은 상승에 무게를 두게 됩니다.

위 차트에서 보시면 초반 급락이 나오고 바닥을 형성하면서 저항선(넥라인)을 넘지 못하면서 바닥을 두 번 만들었습니다.

바닥이 두 번이기에 쌍바닥이라고 표현하는 겁니다.(이건 뭐.. 다들 아시잖아요..?)

그리고 쌍바닥에서 넥라인을 돌파했을 때 바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라, 차트에서 흰색 네모칸에 있는 음봉부근 또는 바로 옆의 작은 양봉 부근에서 진입을 하는 겁니다.

(진입할 때 손절가(로스)는 꼭 설정해야 하는 거 아시죠? 저의 경우 손절가는 넥라인 이탈 또는 돌파봉의 중심 부분으로 잡습니다.)

목표가격은 쌍바닥의 1:1 비율 또는 1:0.5로 잡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위 차트는 1:1 또는 1:0.5로 잡았다면 배가 상당히 아팠겠습니다...(아이고 배야..)

 

패턴과 매매에 대해 공부를 하면서 제가 강조했던 것이 있습니다.

1. 차트에 100%는 없다.

2. 패턴은 완성된 후 진입하는 것이다.

3. 손절가와 목표가격은 정해서 매매해야 한다. (전략을 짜고 대응을 해야 한다.)

 

그 외에 강조했던 것이 여러 가지 있지만, 그건 글을 다 읽어보신 분들이라면 아실 거라 생각됩니다.

 

쌍봉(더블탑), 쌍바닥(더블바텀)의 패턴은 어려운 패턴이 아니며 자주 나오는 패턴이니 꼭 숙지하시길 바랍니다.

 

내일은 라이징웻지(상방쐐기), 폴링웻지(하방쐐기)에 대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